본문 바로가기
경제 이야기

근로계약서 미작성 신고 방법 및 벌금

by NewLiar 2024. 11. 28.
반응형

1.근로계약서, 신고 대상이 될 수 있다고요? 🤔

알바를 시작했는데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면? 이는 단순히 “종이 한 장 없는 상태”의 문제가 아닙니다. 근로계약서 미작성은 근로기준법 위반에 해당하며, 고용주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어요.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고용주를 신고하는 방법과 벌금에 대해 궁금하시다면, 이 글을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!

근로자는 당당히 권리를 지킬 권리가 있고, 고용주는 그 의무를 다해야 합니다. 신고 방법과 벌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해 봅시다. 😊

2.근로계약서 미작성 신고 방법 및 벌금 🚨

1) 근로계약서 미작성, 어떤 처벌을 받을까? 💸

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는 경우, 고용주는 근로기준법 제17조 및 제114조에 따라 최대 500만 원의 벌금을 부과받을 수 있습니다.
이 법은 근로자의 기본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것으로, 아래의 사항을 명시하지 않으면 처벌 대상이 됩니다:

  • 임금 (시급, 월급, 주급 등)
  • 근무 시간 (일일 근무시간, 휴게 시간)
  • 휴일 및 휴가 (주휴수당 포함)
  • 계약 기간 (고용 시작일과 종료일)

💡 TIP: 근로계약서는 단순히 작성하지 않은 고용주만의 문제가 아닙니다. 근로자가 신고하면 고용주가 즉시 벌금을 물게 될 가능성이 높으니, 문제를 초기에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!

2) 근로계약서 미작성 신고 방법 📝

근로계약서가 없는 경우, 이렇게 신고하세요!

(1) 고용노동부 상담센터 이용하기

가장 간단한 방법은 고용노동부 상담센터(국번 없이 1350)에 전화하는 것입니다.
상담을 통해 신고 절차에 대해 안내받을 수 있으며, 다음과 같은 정보가 필요할 수 있어요:

  • 근로를 시작한 날짜와 종료 날짜
  • 근무 시간 및 근무 장소
  • 급여 및 근로 조건(약속된 사항)

(2)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또는 민원신청

고용노동부 홈페이지(https://www.moel.go.kr/)에서 온라인 민원신청을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.
온라인 신고는 간편하며, 필요한 서류를 업로드하면 됩니다.

고용노동부 홈페이지 신고사이트

(3) 관할 지방 고용노동청 방문하기

직접 관할 지방 고용노동청에 방문하여 신고서를 제출할 수도 있습니다.
이 경우 아래와 같은 자료를 준비하세요:

  • 근로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 (출퇴근 기록, 급여 명세서 등)
  •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메모나 대화 내용

(4) 익명 신고 가능

근로기준법 위반 사항은 익명으로도 신고 가능합니다. 단, 익명 신고 시 본인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최대한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.

3) 고용주에게 부과되는 벌금 💳

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고용주에게는 다음과 같은 벌금이 부과됩니다.

  • 근로기준법 제17조 위반: 최대 500만 원
  • 주휴수당, 최저임금 미지급 등 추가 사항 발생 시: 벌금 및 과태료 추가

💡 주목할 점: 고용노동부에 신고가 접수되면, 근로감독관이 직접 조사를 시작하며 고용주는 적발 시 즉시 시정 명령을 받고 벌금을 부과받게 됩니다.

4) 근로계약서 미작성 시,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보호 🤝

(1) 근로 조건 강제 이행

신고 후 고용주가 시정 명령을 받을 경우, 반드시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. 또한, 임금과 근무 조건 등에서 불이익을 받았다면 이를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.

(2) 미지급 임금 및 주휴수당 청구

근로계약서 미작성 상태에서 주휴수당, 연장근로수당 등이 지급되지 않았다면, 고용노동부에 추가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.

(3) 불리한 대우 방지

고용주가 신고 후 불이익을 주는 경우(예: 해고, 폭언 등), 이는 부당해고 및 부당 대우에 해당하며 별도로 처벌받게 됩니다.

3.신고로 권리를 지키세요! 💪

근로계약서는 근로자와 고용주를 보호하는 필수 문서입니다. 작성하지 않는 것은 분명히 법 위반이며, 신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. 특히,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아 분쟁이 발생했다면 즉시 고용노동부에 신고하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책이에요.

당신의 권리를 지키는 첫걸음은 작은 신고에서 시작됩니다. 고용노동부를 통해 법의 보호를 받고, 더 이상 불이익을 당하지 마세요! 😃

 

 

반응형